결론부터 말하면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엄연히 다른거다
요즘 개발자가 핫한 직업군이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네카라쿠배 개발자가 되기위해서
코딩 테스트 준비로 여러 문제를 푸는데
가만 보면 회사에서 요구하는 알고리즘 역량과
취업 준비생이 이해하고 준비하는 알고리즘이 좀 다른것같다
다들 문제해결 능력 기르겠다고
알고리즘 사이트에서 자료구조 문제들을 열심히 푸는데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기술하는것이고
자료구조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때문에 문제를 백날 풀어서 자료구조를 마스터 해도
알고리즘(문제해결능력)은 낮을 수 있다.
물론 자료구조를 잘하면 플러스 요인이 되지만
이론은 빠삭한데 실전에는 취약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실제 고객님은 어렸을 적 씽크빅으로 공부하셨는지
요구사항이 매우 창의적인데
우리가 공부했던 모의고사 문제에서는
볼 수 없었던 요구사항이 자주 나온다
윗선에서 그런 요구사항은 못 만든다고 쳐내면 다행인데
현실은 맡겨만 주십쇼 하면서 그대로 들고오기 때문에
눈물을 흘리며 만드는 수밖에 없다.
그래서 백날 알고리즘 문제 100점 맞아봐야
현장에서 간단한 게시판 하나 못짜면
집으로 무제한 무급 휴가를 보내줄 뿐이다.
그럼 개발자의 주요 역량인 문제해결 능력은
어떻게 해야 향상할 수 있는것인가
내가 생각하는 답은
자신만의 서비스를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것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반드시 오류를 만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해결 방법을 찾고 적용하게 될것이다.
문제를 해결했으면 그것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설명하는게 알고리즘이다.
그리고 그것을 문제해결 능력이라고 말한다.
그럼 자료구조는 어디에 써먹는거냐 물으면
기능 설계할 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구상할 때 사용한다.
지금 자신이 겪는 문제가
성능적인 문제라면 자료구조를 배우는게 맞는거고
개발 경험이 부족한것이면 프로젝트하면서 경험하면 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군 온라인 교육 퀴즈에 대하여 (0) | 2022.11.03 |
---|---|
배터리 100% 충전에 대한 오해와 진실 (0) | 2022.11.03 |
제조사에서 배터리 80% 설정을 만든 이유 (0) | 2022.11.03 |
티스토리 코드블럭 미적용 문제 해결 (0) | 2022.10.30 |
댓글